Page 63 - 에너지절약설계기준FAQ(2019년)
P. 63

창 및 문의 기밀성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4


                         커튼월의 경우 ASTM 방식으로 KOLAS 인증기관에서 시험한 성적서의 기밀성능도 인정
                         가능한지?

                         설계기준 제5조제10호자목에 따라 기밀성 창 및 문은 KS F 2292 규정에 따른 기밀성이 1~5등급
                         (통기량 5㎥/h·㎡미만)인 것을 말하며, 이 외 시험방법을 통한 기밀성능은 인정이 불가합니다.

                         ※관련근거 : 설계기준 제5조제10호자목, 제6조제4호바목, 건축부문 의무사항 6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창 및 문의 기밀성 인정 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5



                         효율관리기자재 신고 확인서에서 창의 통기량이 1㎥/h·㎡미만으로 설계기준에 따른
                         기밀성 1등급에 해당되는데, 효율관리기자재 신고 확인서의 에너지소비효율등급이 “2등급”
                         인 경우 해당 창호의 기밀성 등급은?

                         효율관리기자재 신고 확인서는 열관류율 및 기밀성(통기량)을 종합하여 에너지소효율등급을
                         산정하며, 설계기준의 기밀성 항목은 KS F 2292 시험방법에 따른 기밀성(통기량)으로 등급을
                         산정합니다. 따라서 건축부문 의무사항 6번 항목 및 성능지표 5번 항목은 기밀성(통기량)을 기준으로
                         등급을 적용하면 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※관련근거 : 설계기준 제5조제10호자목, 제6조제4호바목, 제7조4호가목, 건축부문 의무사항 6 및 성능지표 5
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창 및 문의 기밀성 산정 기준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6


                         건축부문 성능지표 5번 항목 배점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외기에 간접 면하는 창 및 문도
                         계산에 포함하여야 하는지? 건축물에 설치되는 창 및 문의 기밀성 등급이 다를 경우 통기량
                         산정방법은?

                         설계기준 제6조제4호바목에 따라 외기에 직접 면하는 거실의 창에 대해 기밀성 창을 설치하여야
                         하며, 설계기준 제7조제4호에서는 외기 직면, 간면과 관계없이 거실 부위의 창 및 문에 대해 기밀성 창
                         및 기밀성 문을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. 따라서 건축부문 성능지표 5번 항목에 따른 창 및
                         문의 기밀성 등급 및 통기량 계산 시 외기에 간접 면하는 창 및 문도 포함하여야 합니다. 또한, 기밀
                         성이 다른 창 및 문을 적용한 경우 면적에 따라 가중평균배점을 적용하며, 통기량 증빙이 불가능한
                         창 및 문은 배점을 0점으로 적용합니다.

                         ※관련근거 : 설계기준 제6조제4호바목, 제7조제4호가목, 건축부문 의무사항 6 및 성능지표 5

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너지절약설계기준 ╻ 59
   58   59   60   61   62   63   64   65   66   67   68